티스토리 뷰

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을 설명하고, 영아기부터 아동기까지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양육자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을 설명하고, 영아기부터 아동기까지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양육자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1. 서론


1단계(영아기)는 신뢰 대 불신 단계로 유아가 세상에 대한 신뢰 관계를 수립하는 시기이다. 2단계(유아기)는 자율성 대 수치 단계로 자신의 의지와 통제력을 발달시킨다. 3단계(초기 아동기)는 주도성 대 죄의식 단계로 주도적으로 자신의 삶에 관여함으로써 목표감과 가치를 추구한다


2. 본론


에릭슨은 남근기의 아동이 성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은 무엇을 ‘만들어 내는’ 행동, 즉 목표를 형성하고 수행하고, 경쟁하는 소위 관입(intrusion)의 행동 양식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관입의 노력을 기울이는가, 즉 주도성(initiative)이 이 시기 발달의 핵심 개념으로 대두된다. 그와 동시에 이들은 자신의 계획과 희망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 즉 어떤 행동에는 사회적 금기가 있고 생각보다 훨씬 위험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며 이는 죄의식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죄의식은 결국 초자아로 내면화되고 자기 억제의 기능을 발달시킨다(Crain, 2010).


3. 결론


아동기때는 주도성 대 죄의식 단계로, 프로이트는 이 시기의 아동이 초자아를 형성하고 부모에 대한 동일시를 이룬다고 보았다. 이 시기는 아동이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얼마나 노력을 기울이는가, 즉 주도성이 이시기의 발달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양육자는 이시기를 잘 형성하여야한다

레고나, 퍼즐, 심부름 같은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주도적으로 이룰수있도록 해야하고, 그와동시에 규칙이나 규율을 정해주어 지키지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알려주고, 지키지않았을 경우에 죄의식을 가질 수 있게 한다.




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을 설명하고, 영아기부터 아동기까지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양육자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에 대해 더 많은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